카테고리 없음

응급실 이용법, 알아야 할 모든 것

콘텐츠방랑자 2025. 5. 29. 00:13
728x90
반응형

응급실이란?

응급실은 갑작스러운 질병, 사고, 외상 등으로 생명이 위급한 환자에게 신속하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병원 내 별도 부서입니다. 365일 24시간 운영되며, 각종 장비와 전문의료진이 상시 대기합니다.

언제 응급실을 이용해야 하나?

일반 외래가 아닌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을 때 응급실을 이용해야 합니다.

  • 의식 저하, 호흡 곤란, 경련 지속
  • 흉통, 심장 통증, 마비 증상
  • 출혈 조절이 안 되는 외상
  • 심한 복통, 고열, 화상
  • 심한 두통, 어지럼증, 뇌졸중 의심
  • 중독, 약물 과다 복용

응급실 이용 절차

  1. 1단계 – 응급실 도착: 접수 후 간호사 문진 → 응급환자 분류 (KTAS)
  2. 2단계 – 진료 대기: 경중도에 따라 진료 우선순위가 결정됨
  3. 3단계 – 검사 및 처치: 영상검사, 혈액검사, 약물투여 등
  4. 4단계 – 입원/퇴원/전원 결정: 상태에 따라 이후 조치 결정

응급실 비용 구조

  • 응급환자: 건강보험 적용, 응급의료수가제로 진료비 감면
  • 비응급환자: 진료비 전액 본인 부담 발생 가능
  • 야간/휴일 가산: 평일보다 진료비가 높아질 수 있음

※ 3차 병원 응급실에서는 기본 진찰료 외에 진료 의뢰서 없이 방문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응급실 이용 시 주의할 점

  • 비응급 환자의 무분별한 방문은 진료 지연 유발
  • 가급적 응급의료포털 또는 119 상담 통해 적합 여부 사전 확인
  • 건강보험증 또는 신분증 지참 필수

자주 묻는 질문 (FAQ)

Q. 119 구급차를 타면 무조건 응급실로 가야 하나요?

A. 아닙니다. 119 상황실이 환자 상태에 따라 병원 적합성 판단 후 이송합니다.

Q. 응급실에서 대기 시간이 긴 이유는?

A. 응급도 분류(1~5단계)에 따라 긴급도가 낮은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Q. 환자 대신 보호자가 설명할 수 있나요?

A. 가능하지만, 환자 본인의 상태를 간호사가 직접 확인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관련 정보 링크 카드

 

  ✅ 서울 지역 응급의료기관 리스트  

서울대학교병원 종로구 대학로 101 1588-5700 권역응급의료센터
삼성서울병원 강남구 일원로 81 1599-3114 권역응급의료센터
서울아산병원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1688-7575 권역응급의료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성북구 안암로 145 1577-0083 지역응급의료센터
이대서울병원 강서구 공항대로 260 1522-7000 지역응급의료센터
한강성심병원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61 02-2632-0010 지역응급의료기관
서울성모병원 서초구 반포대로 222 1588-1511 지역응급의료센터
국립중앙의료원 중구 을지로 245 02-2260-7114 공공응급의료기관

 

✅ 경기 지역 응급의료기관 리스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173번길 82 1588-3369 권역응급의료센터
아주대학교병원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1688-6114 권역응급의료센터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23 031-412-5555 권역응급의료센터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화성시 큰재봉길 7 1522-2500 지역응급의료센터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수원시 장안구 수성로 245 031-888-0660 공공응급의료기관
명지병원 고양시 덕양구 화수로 14번길 55 031-810-5114 지역응급의료센터
의정부성모병원 의정부시 천보로 271 031-820-3000 지역응급의료기관
평택박애병원 평택시 중앙로 338 031-651-2121 지역응급의료기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