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지역별 장애인 서비스 & 유형별 맞춤 혜택 정리

콘텐츠방랑자 2025. 5. 31. 04:17
728x90
반응형

1. 서울 지역 서비스

서울시 장애인종합복지관은 25개 자치구별로 운영된다. 각 복지관은 직업재활, 언어재활, 이동지원, 일시보호서비스 등을 제공.
특히 ‘서울장애인콜택시’, ‘서울장애인가족지원센터’는 타 지역에 비해 서비스 접근성이 우수하다.

2. 경기·인천 지역 서비스

경기도는 ‘누림센터’를 중심으로 지역별 장애인복지관 및 거주시설 지원 확대 중. 이동권 확대를 위해 시내 저상버스 도입률이 높음.
인천시는 ‘장애인정보화센터’를 통해 보조공학기기 및 컴퓨터 교육 프로그램을 집중 운영한다.

3. 지방(광역시/도별) 주요 기관

- **부산**: 부산장애인종합복지관, 청각장애인지원센터 운영
- **대전**: 장애인 바우처센터, 지체장애인 편의시설 확충
- **광주·전남**: 농어촌 지역 발달장애인 돌봄 확장, 문화접근성 강화
- **강원·충청**: 교통약자 콜택시 확대, 복지시설 접근 불균형 해소 노력

4. 시각장애인 맞춤 서비스

- 보장구 지원: 점자정보단말기, 확대독서기, 안내견 지원
- 이동편의: 점자블록 정비, 음성신호기 설치 확대
- 디지털 접근: 음성도서관(국립장애인도서관) 운영

5. 청각·언어장애인 맞춤 서비스

- 수어 통역: 공공기관 수어 통역사 배치, 민원실 실시간 문자통역기 도입
- 기기지원: FM보청기, 영상전화기 무료 설치
- 교육 지원: 청각장애 특수학교, 언어재활센터 운영

6. 지체·뇌병변장애인 맞춤 서비스

- 이동보조: 전동휠체어·스쿠터 지원, 휠체어 리프트 차량 배정
- 주거환경개선: 경사로 설치, 화장실 개보수 사업
- 운동·재활: 지역 장애인 체육센터 무료 이용권 제공

📌 자주 묻는 질문(FAQ)

Q. 우리 동네 복지관 위치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A. 복지로(www.bokjiro.go.kr)나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장애인 복지관’으로 검색 가능.

Q.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어디서 이용하나요?

A. 국립장애인도서관에서 음성도서, 점자도서 대출이 가능하며 온라인 이용도 지원.

Q. 교통약자 콜택시는 모든 지역에서 제공되나요?

A. 대부분의 광역시·도에서 운영 중이며, 시·군청 복지과에 사전등록이 필요함.

장애인복지관 서울장애인콜택시 보조공학기기
728x90
반응형